yumyum
[Linux] RAID 실습 본문
sda => OS
sdb
sdc => Raid0
sdd
sde => Raid1
sdf
sdg
sdh => Raid 5
로 지정하여 실습 해보자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디스크 7장 추가 (각 5GB씩)
# ls -l
# fdisk /dev/sdb 에 들어가기
# n -> 새로만들기
# p -> 확인하기
# m -> 메뉴
# t -> hex 코드 변경
# fd -> 16진수 raid auto 모드 적용
# w -> 저장하기
# fdisk /dev/sdc
# sfdisk -d /dev/sdb > /tmp/sdb.dmp -> 파티션 정보 저장
# sfdisk -f /dev/sdc < /tmp/sdb.dmp -> 나머지 c~h 까지 같은 정보로 지정하기
# ls -l /dev/sd* 로 파티션 정보 확인

=> 확인하고 reboot 해주기

=> 두개의 파티션을 하나로 묶는 볼륨 작업 (sdc, sdb를 RAID0으로 묶기)



=> 포맷해주기

=> 마운트할 폴더 만들어주기

=> 만들어준 폴더에 마운트 해주기

# mount /dev/md0 /md0 -> 마운트된 결과를 볼 수 있다

reboot 했을때도 자동으로 마운트 되게 설정해주기

yy로 복사하고
p로 붙여넣기 한다
각각 RAID0과 맞게 md0 으로 바꿔주고 적용될 수 있도록 주석을 빼준다
# mount -a 로 확인해주기
RAID 0~5 다 똑같은 방식으로 적용,
reboot 했을때도 마운트 설정되는지 확인
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QUIZ
rocky와 Ubuntu에도 똑같이 raid 설정하기!
센토스와 똑같이 각각 raid를 설정하게되면, 둘다 reboot을 했을때 emergency 모드에 들어가게 된다
=> 해결방법
이것은 md0, md1, md5 로 지정한것이 임의대로 번호가 바뀌어서 그런것!
# ls -l /dev/md* -> 각각 어떤 숫자로 바뀌었는지 확인


# blkid /dev/md(해당번호) -> UUID 찾아주기

# vim /etc/fstab -> md0, md1, md5를 각각의 알맞는 UUID로 바꿔주기
# mount -a -> 모두 마운트 해주기
# df -> 결과 확인

=> 적절히 마운팅 된것 확인.
이러한 과정을 실행해주면 reboot을 해도 emergency 모드에 들어가지 않는다.
'ICT기반 클라우드 네트워크 해킹 침해대응전문가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LVM (0) | 2023.09.04 |
---|---|
[Linux] io 테스트 (0) | 2023.09.01 |
[Linux] RAID 이론 (0) | 2023.09.01 |
[Linux] 디스크 파티션, fstab (0) | 2023.09.01 |
[Linux] 파이프, 필터, 리다이렉션, 프로세스, 데몬 (0) | 2023.08.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