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umyum
[Linux] 하드디스크 관리와 사용자별 공간 할당 본문
IDE 장치와 SCSI 장치의 구성

Vmware Player 5.0.x는 총 60개의 SCSI 하드디스크, 총 4개의 IDE 하드 디스크를 장착할 수 있다.
- 하드디스크를 물리적으로는 /dev/sda, /dev/sdb, /dev/sdc ... 형식으로 부른다
- 디스크 파티션이 나눠진 것을 논리적으로는 /dev/sda1, /dev/sda2, /dev/sda3, /dev/sdb1 .... 형식으로 부른다
** 파티션은 그냥 사용할 수 없으며, 반드시 특정한 디렉터리에 마운트 시켜야만 사용이 가능하다
Raid
여러 개의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함 -> 비용절감 + 신뢰성 향상 + 성능 향상의 효과를 냄
하드웨어 RAID
-하드웨어 제조업체에서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가지고 장비를 만들어서 그 자체를 공급
- 조금 더 안정적이지만, 상당히 고가
소프트웨어 RAID
- 고가의 하드웨어 RAID의 대안
-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방식
- 저렴한 비용으로 좀 더 안전한 데이터의 저장이 가능

RAID0 (스트라이핑)(최소디스크 2장 필요)
- 속도가빠름
- 안정성이 떨어짐 (하나만 고장나도 다 고장남)
- 모든 디스크에 동시에 저장됨
- 100%의 공간효율성 (=비용저렴)
- '빠른 성능을 요구하되, 혹시 전부 잃어버려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 자료'가 적당함

RAID1 (미러)(최소디스크 2장 필요)
- 미러링이라 부름
- 데이터 저장에 두배의 용량이 필요
- "결함 허용"을 제공 => 신뢰성 높음
- 두배의 저장 공간 = 비용이 두배 =공간효율 나쁨
- 저장속도(성능)는 변함 없음
-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절


RAID5 (패리티 비트)(최소디스크 3장 필요)
- 패리티비트를 대각선으로 놓음
- RAID1의 데이터의 안전성 + RAID0처럼 공간 효율성
- 어느 정도의 결함이 있어도 패리티 비트를 통해 복구가능
- 디스크의 개수 -1 의 공간을 사용
- 디스크 2개가 고장나면 복구 못함

RAID10 (1과 0을 합친방법)(최소디스크 4장 필요)
-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
- 전송속도 2배 (4장을 쓸때 2개의 속도가 남)
- 신뢰성과 성능이 동시에 뛰어난 방식
- Hot Spare이라는 공간을 둬서 12개의 디스크라면 11개, 패리티 비트까지하면 10개를 사용할 수 있음
'ICT기반 클라우드 네트워크 해킹 침해대응전문가 >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명령어 모음, 기초 (0) | 2023.09.06 |
---|---|
[Linux] 웹 서버의 설치와 운영 (0) | 2023.09.06 |
[Linux] 원격지 시스템 관리하기 (수정중) (0) | 2023.09.04 |